-
온라인 간편예약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상담·예약이 가능합니다.
온라인 진료예약 서비스는 신청 후 병원에서 확인 전화를 드린 후로 예약이 확정되는 서비스입니다. 휴무일 또는 업무시간 외 신청하는 예약 건은 정상업무일 오후부터 순차적으로 확인전화를 드립니다.
* 주의 ) 확인 전화가 가지 않으면 예약이
확정되지 않는 상태이니 문의 주시길 바랍니다.
25-07-22
398
서울대 출신 정형외과 전문의 4인이 족부질환을 집중적으로 진료하는 두발로병원에서 강직성 무지증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1. 엄지발가락 통증, 무지외반증과 혼동하지 마세요.
엄지발가락에 통증이 생기면 흔히 무지외반증을 생각합니다.
하지만 발가락이 휘는 변형 없이, 관절이 뻣뻣해지고 통증이 있다면 '강직성 무지증'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엄지발가락 관절에 발생하는 퇴행성 관절염으로, 두 질환은 치료법이 달라 정확한 감별이 중요합니다.
2. 강직성 무지증이란 무엇인가요?
강직성 무지증은 엄지발가락의 중족-족지 관절(발등과 발가락이 만나는 관절)의 연골이 닳아 없어지면서,
관절의 움직임이 점차 뻣뻣하게 굳고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관절염이 진행되면서 관절 주변에 뼈가 웃자라는 '골극'이 형성되어, 발등 쪽으로 뼈가 튀어나와 보이기도 합니다.
3. 강직성 무지증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 반복적인 외상 및 과사용: 과거에 엄지발가락을 다쳤거나, 발레나 축구처럼 엄지발가락 관절을 과도하게 사용하는 경우 연골 손상이 가속화될 수 있습니다.
* 유전 및 발의 구조적 문제: 가족력이 있거나, 평발 또는 요족처럼 발의 역학적 균형이 맞지 않는 경우 특정 관절에 압력이 집중되어 발생하기 쉽습니다.
* 노화: 나이가 들면서 자연스럽게 관절 연골이 마모되는 퇴행성 변화가 주된 원인입니다.
4. 어떤 증상이 나타나나요?
초기에는 걸을 때 엄지발가락 관절 부위가 뻐근하고 약간의 통증이 느껴집니다.
질환이 진행될수록 관절이 뻣뻣해져, 발가락을 발등 쪽으로 들어 올리는 동작이 힘들어집니다.
이로 인해 까치발을 들거나 계단을 오르기 어려워집니다.
관절 윗부분에 뼈가 튀어나와 신발에 닿으면서 통증이 생기고, 비 오는 날 등 날씨 변화에 따라 통증이 악화되기도 합니다.
5. 어떻게 진단하고 치료하나요?
X-ray 촬영을 통해 관절 간격이 좁아진 정도와 골극 형성 여부를 확인하여 진단할 수 있습니다.
초기에는 발볼이 넓고 바닥이 단단한 신발을 착용하여 관절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소염진통제 복용이나 관절 내 주사 치료 등으로 통증을 조절합니다.
하지만 보행에 심한 지장을 주거나 통증이 지속될 경우,튀어나온 뼈를 제거하는 '골극 제거술'이나, 심한 경우 관절의 움직임을 없애 통증을 줄이는 '관절 유합술' 등의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강직성 무지증과 무지외반증의 가장 큰 차이는 무엇인가요?
A1. 가장 큰 차이는 변형의 방향과 관절 운동 범위입니다.
무지외반증은 엄지발가락이 옆으로 '휘는' 질환이고,
강직성 무지증은 관절이 위아래로 움직이지 않고 '굳는' 질환입니다.
Q2. 하이힐을 신으면 더 안 좋은가요?
A2. 네, 매우 좋지 않습니다.
하이힐은 엄지발가락 관절이 위로 꺾이도록 강요하기 때문에,
관절에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고 연골 손상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바닥이 평평하고 단단한 신발이 좋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